티스토리 뷰

목차



    내 블로그에 광고를 달기 위해서는 먼저 구글 애드센스를 승인받아야 합니다. 근데 애드센스 고시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받는 것이 어렵습니다. 물론 쉽게 받는 경우도 있겠지만 길게는 6개월 이상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아주 쉽게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본문에서는 구글 애드센스 승인을 위한 자동 포스팅 시스템 구축 방법에 대해 메이크(Make), ChatGPT, 블로그스팟(Blogger)을 활용한 구체적인 자동화 워크플로우 예시를 통해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Make 자동포스팅

     

     

    구글 애드센스란?

    애드센스(Google AdSense)는 구글이 제공하는 광고 플랫폼으로, 자신의 웹사이트나 블로그에 광고를 삽입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구글은 사이트의 콘텐츠와 방문자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관련성 높은 광고를 표시해 주며, 광고 클릭 또는 노출 수에 따라 블로거에게 수익이 발생합니다.

     

    단, 이러한 수익 창출을 시작하려면 반드시 구글의 엄격한 애드센스 심사를 통과해야 합니다. 이 심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검토됩니다:

     

    • 📄 콘텐츠 품질: 글의 독창성, 내용의 깊이와 정보성
    • 📱 모바일 최적화: 반응형 디자인, 모바일 접근성
    • ⚙️ 사이트 구조: 메뉴 구성, 페이지 이동의 편의성
    • 🚫 저작권 및 중복 콘텐츠: 다른 사이트에서 복사한 글 여부

     

    특히 블로그에 콘텐츠가 너무 적거나 글이 짧은 경우, 또는 다른 사이트에서 복사해 온 흔적이 보일 경우 애드센스 승인에서 탈락하기 쉬우므로 꾸준하고 독창적인 포스팅이 매우 중요합니다.

     

    애드센스 승인관련 자세한 내용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추천 블로그 플랫폼

    애드센스를 붙일 수 있는 블로그 플랫폼 중에서는 아래 세 가지가 대표적입니다. 각각의 장단점도 함께 비교해 보겠습니다.

     

    ✅ 티스토리(Tistory): 국내 블로거들 사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플랫폼이며, 커스터마이징 자유도와 애드센스 호환성이 뛰어납니다. 단, 카카오 계정 기반이라 UI나 정책이 간혹 변경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 워드프레스(WordPress):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MS로, 다양한 테마와 플러그인을 지원합니다. 서버 비용이 들지만 SEO나 광고 연동에 매우 유리한 구조입니다.

     

    ✅ 블로그스팟(Blogger): 구글이 직접 운영하는 플랫폼으로, 애드센스 연동이 가장 원활하며 설정이 간편하고 무료입니다. 자동화 설정에도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번 글에서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 네이버 블로그: HTML 스크립트 삽입이 불가능해 애드센스 삽입 자체가 되지 않습니다. 간단한 개인 기록용으로는 좋지만 수익화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블로그스팟 만들기

    애드센스 광고를 달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만의 블로그가 있어야 합니다. 물론 개인 웹사이트나 커뮤니티 사이트에도 광고를 달 수 있지만, 가장 쉬운 방법은 블로그 플랫폼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특히 초보자에게는 구글 블로그스팟(Blogger)이 매우 적합합니다. 구글 계정만 있으면 무료로 개설이 가능하고, 애드센스와의 호환성도 매우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구글 블로그스팟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자동 포스팅을 통한 승인 전략

    애드센스 승인을 위해서는 일정 수 이상의 양질의 글이 게시되어 있어야 하며, 보통 15~20개의 글이 필요하며 각 글은 최소 800자 이상이어야 구글 심사에서 콘텐츠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수작업으로 글을 작성하는 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Make + ChatGPT + Blogger 조합을 활용한 자동 포스팅 시스템을 활용하면 훨씬 효율적으로 콘텐츠를 생성하고 누적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의 핵심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1. Make 시나리오 구성 - 사용자가 정의한 흐름에 따라 자동화 작업이 순차적으로 실행됨
    2. RSS 피드 연동 - 특정 언론사의 RSS를 가져와 새 기사 발생 시 감지
    3. ChatGPT API 연동 - 기사 요약 및 블로그 글 작성 자동화
    4. Blogger API 포스팅 - 생성된 글을 자동으로 게시

     

    예시: Make로 자동 포스팅 시나리오 구성

    메이크(make)를 활용하여 자동 포스팅 만드는 방법을 단계별로 하나씩 설명할 테니 잘 따라오시기 바랍니다.

    1. 메이크(Make) 계정 생성

    ① 메이크로 접속을 합니다.

    메이크 사이트아래에서 바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② "Get started free" 버튼을 클릭합니다.

    Make 자동포스팅
    Make 자동포스팅

    ③ 구글로 sign up을 선택합니다

    ④ 본인의 구글계정을 선택합니다

    ⑤ Hosting Region을 'US'로 선택합니다

    Make 계정 생성Make 계정 생성Make 계정 생성
    Make 계정 생성

    ⑥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합니다.

    대부분 'Other'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Automation experience는 'I have no experience with automation'을 

    Company size는 'Only Me'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사실 무엇을 선택해도 크게 상관은 없습니다

    Make 계정 생성Make 계정 생성Make 계정 생성
    Make 계정 생성

     

    2. 시나리오 작성

    계정을 생성했으면 다음으로 시나리오를 작성해야 합니다. 시나리오는 어떤 절차로 자동 포스팅을 할 것인지 정하는 것입니다.

     

    기존에는 chatGPT를 이용하여 직접 포스팅을 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포스팅을 합니다.

    chatGPT에게 "경제에 관련된 주제 100개만 뽑아줘"라고 질의 후

    주제 1개씩 "chatGPT에게 글을 써달라고 요청 > 글을 블로그에 복사해서 포스팅"을 수십 번 반복하게 됩니다.

     

    자동으로 포스팅을 하기 위해 아래 4가지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바로 그것이 시나리오가 됩니다.

    [ 시나리오 작성 ]
    1단계. 일정 시간마다 특정주제의 뉴스 가지고 오기
    ↓ 
    2단계. chatGPT에게 글 제목을 써달라고 요청하기
    3단계. chatGPT에게 해당 제목에 맞게 글을 써달라고 요청하기
    4단계. 해당 글을 블로그스팟에 포스팅하기

     

    위와 같은 단계로 시나리오 작성을 해보겠습니다. 

    신규시나리오 작성을 위해 메인 화면에서 'Scenarios'를 선택합니다. '+ Create a new scenario'를 눌러서 신규 시나리오 작성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① 1단계 - 일정시간마다 특정주제 뉴스 가져오기

    언론사의 rss를 활용하면 특정주제의 뉴스를 쉽게 가져올 수 있습니다. 구글에서 원하는 "언론사 rss"를 입력해서 해당 URL을 가지고 오면 됩니다.

    * rss : xml기반의 콘텐츠 배급 포맷으로 사이트를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최신 정보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연합뉴스를 예로 들겠습니다. 구글에서 "연합뉴스 rss"를 입력 후 해당 rss를 가지고 옵니다.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시나리오 리스트에서 'RSS'를 선택 후 "Watch RSS feed items"를 클릭합니다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URL에 위에서 복사한 언론사의 RSS를 붙여 넣기 한 후 'OK'버튼을 클릭합니다.

     

    시계 모양을 클릭해서 해당 시나리오가 실행되는 주기를 입력합니다. 분 단위므로 6시간마다 발행하고 싶으면 360을 입력하면 됩니다. 6시간 주기이므로 하루 4회 포스팅됩니다. 하루 2번만 포스팅하고 싶으면 720을 입력하면 되겠죠. 숫자를 정확하게 입력하는 것보다 367 또는 724 이런 식으로 입력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 RSS 피드 URL 입력 화면 – 뉴스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

    ② 2단계 - ChatGPT로 제목 생성하기

    '+' 버튼을 눌러 시나리오 추가를 합니다. 리스트 중에서 "OpenAI (ChatGPT)"를 선택합니다.

    "Create a Completion (Prompt)를 선택합니다.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다음과 같이 세팅을 합니다

    ✅ Model : GPT-4o: gpt-4o-mini (system)

    ✅ Messages

          - Role : 'User' 선택

          - Text Content : 마우스를 클릭해서 'Description'을 선택 후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Description'을 기반으로 블로그 제목을 만들어주세요. 제목은 명사 위주로 문자로만 작성합니다.

     

    ✅ Max Completion tokens : 5000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 ChatGPT API를 이용해 블로그 제목 생성

     

    여기서 다음을 진행하기 전에 두 가지 더 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OpenAI에 비용을 지급해야 합니다(1만원 이하). 그리고 OpenAI의 API키를 연결해야 합니다.

    "OpenAI billing page"를 클릭합니다.

     

    OpenAI페이지로 접속이 됩니다. "Add payment details"를 클릭해서 "Individual"를 선택 후 카드 정보를 입력합니다. billing address는 본인 집주소를 입력하면 됩니다

     

    금액은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해당 금액은 최소금액으로 입력을 합니다. 처음에 6달러를 넣는 이유는 5달러 이하면 10달러로 자동 충전되기 때문입니다. 글 1,000개 포스팅해도 1달러도 안 들기 때문에 6달러만 넣어도 됩니다.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메이크 시나리오 작성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두 번째로 API Key를 연결해야 합니다. Connection의 "Add"버튼을 누른 후 "OpenAI Account API Keys"를 클릭합니다.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OpenAI페이지로 접속이 됩니다. "+ Create new secret key"를 클릭합니다.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Create secret key"를 클릭 후 해당 Key를 Copy합니다. "API Key"부분에 붙여 넣기 후 "Save"버튼을 클릭합니다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메이크 시나리오 작성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해당 key는 나중에도 이용할 수 있으니 메모장 같은 곳에 잘 저장해 놓습니다.

     

    ③ 3단계 - ChatGPT로 본문 작성하기

    '+' 버튼을 눌러 시나리오 추가를 합니다. OpenAI (ChatGPT)를 클 후 "Create a Completion (Prompt)"를 선택합니다.

    다음과 같이 세팅합니다

    ✅ Model : GPT-4o: gpt-4o-mini (system)

    ✅ Messages

          - Role : 'User' 선택

          - Text Content : 마우스를 클릭해서 'Description'을 선택 후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Description' 기사로 HTML형식으로 구글SEO에 맞게 블로그를 작성해 주세요.

        서론 작성
        - 기사 내용을 요약하여 200자로 작성을 합니다
        - 제목의 모든 내용을 1번 언급합니다.
        
        본론 작성
        - 'Result'를 기반으로 소제목 3개(h2 태그)를 작성합니다.
        - 소제목은 'Result'에서 언급된 단어를 한 개씩 포함하여 작성합니다.
        - 각 단락은 1,000자로 작성합니다(공백 제외) 
       
        결론 작성
        - 핵심내용을 요약하여 200자로 작성합니다.

       

    * 포스팅할 글의 품질은 여기에서 결정이 되므로 스크립트를 잘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의 내용은 단순히 참고용이므로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양질의 글을 만들 수 있도록 여러 번 시도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Max Completion tokens : 5000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④ 4단계 - 블로그스팟 연결하기

    '+' 버튼을 눌러 시나리오 추가를 합니다. 리스트에서 Blogger를 선택 후 "Create a post"를 클릭합니다.

    connection에서 'Sign in with Google'을 선택하여 위에서 만든 블로그스팟의 구글계정으로 연결합니다.

    메이크 시나리오 작성메이크 시나리오 작성메이크 시나리오 작성
    ▲ 블로그스팟에 최종 콘텐츠가 자동 업로드되는 단계

     

    Title은 제목을 생성하는 ChatGPT의 'Result'를 클릭하고, Content는 본문을 생성하는 ChatGPT의 'Result'를 클릭합니다

    3. 시나리오 활성화

    시나리오가 모두 작성되면 "Save"버튼을 클릭하여 저장합니다. "Run once"를 클릭하여 시나리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Make의 시나리오 구성은 블록을 순서대로 연결하는 방식이며, 각 블록은 특정 기능을 수행합니다. 아래 이미지에서는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RSS 수집 → 제목 생성 → 본문 생성 → 블로그 포스팅 순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메이크 자동 포스팅
    ▲ Make에서 자동 포스팅 시나리오 전체 흐름 예시

     

    시나리오 메뉴에서 해당 시나리오를 활성화(ON) 합니다.

    메이크 자동 포스팅
    메이크 자동 포스팅

     

    [요약] 

    1. RSS 수집 모듈 추가:
    - Make에서 'Watch RSS feed items' 모듈을 선택하고, 연합뉴스나 다른 언론사 RSS 주소를 입력합니다.
    - 반복 주기를 설정하여 6시간마다 감지하도록 설정(예: 360분).
    - 팁: 6시간 간격은 너무 일정하므로 367처럼 약간의 랜덤 값을 추천합니다.

     

    2. GPT를 이용한 제목 생성:
    - OpenAI → Create a completion 모듈 선택
    - 프롬프트 예시:

    '{{description}}'을 요약하여 블로그 제목을 작성해 주세요. 제목은 간결하고 명사 위주로 구성해 주세요.

     

    3. GPT로 본문 작성:
    - 동일하게 Create a completion 모듈 추가
    - 프롬프트 예시:

    '{{description}}' 기사를 바탕으로 HTML 형식의 블로그 글을 작성해 주세요. 서론 200자, 본론 소제목 3개(h2)와 각 소제목 본문 1000자 이상, 결론 200자로 구성합니다.

     

    4. 블로그스팟 포스팅:
    - Blogger → Create a post 모듈 선택
    - Title에는 GPT 제목 결과 연결, Content에는 GPT 본문 연결
    - 연결 시 구글 계정 인증 필요 (OAuth)

     

    중요한 주의 사항

    • ChatGPT 비용 관리: GPT API는 요청량에 따라 요금이 발생하므로 월 예산 한도를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초반엔 gpt-3.5-turbo 사용 후, 품질 향상을 위해 gpt-4o로 교체하는 전략도 유용합니다.
    • API Key 보안: OpenAI의 API Key는 외부에 노출되면 악용될 수 있으니 반드시 안전한 곳에 보관하고, Make 연결 시 보안 저장소에 입력하세요.
    • 중복 포스팅 방지: RSS의 ID나 링크 값을 기준으로 중복 여부를 체크하거나, 이전 포스팅 제목과 비교하는 로직을 추가하면 유사 콘텐츠 중복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애드센스 심사 전 검토 필수: 자동 포스팅된 글이라도 승인 전에 반드시 내용을 검토하여 부적절하거나 문맥에 어색한 표현을 수정해 주세요.
    • 429에러 발생 시 조치방법 : 간혹 429(rateLimitExceeded) 라는 에러가 발생합니다. 사실 이 에러는 많은 트래픽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시간을 두고 다시 실행하면 됩니다. 저도 몇번을 겪었는데 낮시간에 안되다가 저녁때쯤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자동화의 장점

    • 📌 시간 절약: 매일 수작업으로 콘텐츠를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 📌 지속적인 콘텐츠 누적: 검색엔진에 자주 노출되어 방문자 증가 가능
    • 📌 애드센스 승인 가속화: 초기 콘텐츠 확보가 빨라지고, 승인 확률이 높아짐
    • 📌 확장성: 블로그뿐 아니라 다른 SNS나 웹서비스에도 연동 가능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Make 메이크 자동 포스팅 (구글 애드센스 승인, 블로그스팟)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자동 포스팅은 단순한 편의를 넘어서, 블로그 운영을 시스템화하고 수익화의 기회를 넓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메이크와 ChatGPT, Blogger의 조합을 잘 활용하면 콘텐츠 품질과 양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으며, 구글 애드센스 승인 또한 훨씬 수월해질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자동화 구조를 구축해 보세요.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한 번 완성해 두면 매일 수익을 향해 작동하는 나만의 블로그 엔진이 되어줄 것입니다.

     

    Make + ChatGPT + Blogger = 승인 성공 공식! 지금 시작해 보세요.